집에 설치된 공유기가 두개일 경우...
공유기 설정도 잘 모르는데 이렇게 설치되어 있어서 참 난감 하지시요?
자 개념을 먼저 이해 하시고 설정해 보십시오.
1. [공유기에 대한 개념 설명]
가정집에 공유기가 두개가 있다면 보통 자의에 설치한 경우는
드물지도 모릅니다.
인터넷TV, 인터넷 전화기.. 뭐 이런것 때문에 통신사에서 증설한
경우가 대부분 일 것입니다.
공유기가 2개가 있다고 가정 하고 개념을 설명 드리겠습니다.
공유기가 2개여도 메인(대장급)이 꼭 있습니다.
메인공유기만 가지고 있는 역할은 외부(인터넷)망을 담당합니다.
(모뎀을 뜻하는게 아닙니다 아래 도시를 참조.)
보통의 유플러스와 같은 제품은 저렇게 설치 되어 있을겁니다.
보통은 모뎀(인터넷)회선 에서 받은 공유기가 메인입니다.
(아닌 경우가 좀 드뭅니다. 설정을 복잡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...)
2. [메인공유기와 서브공유기의 설정을 동기화 하기!]
무슨 말인가 하면... 사실 메인과 서브 모두 포트포워딩 하고 일일히 연결하기 번거롭고
힘들고 햇갈리고 합니다. 그럼 어떻게 하는게 최적일까요?
몸은 두개일 지라도 머리는 한개로 만드는 것입니다.
U+기준으로 대략 설명 드리겠습니다.(아래 그림을 보세요)
[어느 것이 메인인가?]
아래 사이트를 가면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한 주소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외부조소를 115.94.74.xxx를 확인했다고 하면.
공유기 설정창에 외부IP와 같은 곳을 확인하면 외부 주소가 보입니다.
이 외부 주소가 보이는 공유기가 메인입니다.
[서브공유기의 외부주소 확인]
서브공유기의 외부IP를 확인하면 192.168.219.10과 같은 주소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[메인공유기와 서브공유기 동기화는 DMZ]
- 메인공유기에 가셔서 DMZ항목을 찾으세요.
- 그리고 DMZ주소에 서브공유기가 할당받은 외부IP 192.168.219.10을 입력후 활성화 하세요
자 여기 까지 하셨으면 이제 메인 공유기 설정은 끝난겁니다.
이제 서브의 설정(포트포워딩 과 DMZ를 그대로 메인에 반영됩니다.)
[참고 포트포워딩과 DMZ의 개념은 뭘까요?]
예전에 포트란 프로그램으로 생각하셔도 무방하시다고 말씀드렸습니다.
포트포워딩은 한개의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것이고요.
DMZ는 장비와 장비의 모든 포트를 1:1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.
(전문가분들은 틀리다 할 수 있지만 개발자는 쉽게 설명드리기 위해 이렇게
설명 드립니다, 사실 80%이상 맞는 이야기 입니다.)
3. [서브공유기에서 BestCam 서버 설정!]
위에 그림처럼 192.168.123.21 : 55555
로 베스트캠 서버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에 설명하겠습니다.
* 1대만 설치할때는 DMZ로 설정.
서브공유기의 DMZ항목에 192.168.123.21를 입력후 활성화 하시면 끝입니다.
* 2대 이상을 설치할때는 포트포워딩.
- [BestCam서버1] 192.168.123.21 : 55555
- [BestCam서버2] 192.168.123.25 : 55555
위에처럼 두개의 서버캠을 설치하였다고 가정할때.
포트포워딩 항목에
[BestCam서버1]
129.168.123.21 과 함께 내부포트55555, 외부포트55555
[BestCam서버2]
192.168.123.25 와 함께 내부포트55555, 외부포트55556
으로 하셔야 합니다.
무슨 말인가 하면은 내부포트는 중첩되어도 어차피
할당받은 내부아이피가 21, 25로 틀립니다.
하지만 외부포트를 같이 설정하시면 어느것이 어는것인지
공유기에서는 알 수가 없겠지요?
(그래서 외부포트설정을 55555, 55556으로 한것입니다)
자 이제 클라이언트폰에서 아래사이트에서 외부주소를 취득후 입력
외부조소를 115.94.74.xxx 라고 가정하고
- 클라이언트1 접속정보
Address : 115.94.74.xxx
port : 55555
- 클라이언트2 접속정보
Address : 115.94.74.xxx
port : 55556
이렇게 설정하시면 외부에서 보실수 있으습니다.
또한, 두개 이상도 어떻게 설정하시는지 아실 수 있을 겁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여기까지 설명을 보았는데도 해결이 안된다?
메일로 문의 주십시오.
혹시라도 원격설정이 필요하시면
팀퓨어로 요청 부탁드립니다.
'기타공유기설정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T 홈허브 & 쿡허브 설정밥법 (18) | 2013.08.12 |
---|---|
CJ공유기(KWS-1040N) 설정법 (3) | 2013.04.17 |
U+ 공유기 (CAPD-6000 , CAPL-6000) (9) | 2013.01.29 |
자신의 외부접속가능한 주소 확인방법 (0) | 2012.12.23 |
SK 브로드벤드(머큐리 RUSH-314N) (11) | 2012.12.20 |